오늘은 구글 서치 콘솔에서 페이지 색인 생성이 안 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올렸는데 내가 올린 글이 구글이나 웹페이지에서 검색이 안된다면 페이지 색인 생성을 해결해야 합니다. 솔직히 네이버 블로그는 글을 올리기만 하면 다른 신경을 쓸 일은 거의 없는데 티스토리는 글을 올리는 것보다 세팅, 사이트 등록, 검색로봇, 메타태그 등록, 관리, 등 너무도 많은 난관이 있어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이게 뭔가 싶을 정도로 어렵습니다. 그중 색인 생성은 구글 검색로봇 크롤러가 내가 쓴 글을 탐색하고 웹에 노출을 시켜주는데 이 부분이 문제가 있다면 아무리 많은 정보를 올려도 아무 소용이 없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직접 해보고 그 과정을 글로 쓰기로 하였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소유권 등록과 검색로봇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랫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내 사이트 색인 생성 확인하기
구글 서치 콘솔 - 왼쪽 메뉴 - 색인 생성 - 페이지 - 페이지 색인 생성 - 알려진 모든 페이지 아래 <색인이 생성된 페이지>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페이지>가 보입니다.
아래쪽에 <색인이 생성된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 보기>가 있고 오른쪽 화살표를 클릭하면 색인이 생성된 페이지 URL 주소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라는 항목 아래에 보면 <사유>에 <발견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이라는 문구가 보일 겁니다. 이걸 클릭하면 유효성 검사 상태와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내 블로그 URL 주소가 일부 보입니다.
현재 색인이 안된 페이지들인데 실제로 안되는지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URL 주소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복사>, <새 탭에서 열기>, <URL 검사> 메뉴가 보입니다. 여기서 <URL 검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 페이지 URL이 구글에 등록이 되어있는지,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었는지, 개선 사항과 환경에 대한 내용들이 표시됩니다.
색인 생성이 정상인 URL
목록 중 처음부터 주소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돋보기 모양 <URL 검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Google 색인에서 데이터 가져오는 중>이라고 로딩되면서 URL 검사를 합니다.
몇 초 지나서 URL 검사 화면이 보이는데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이라는 메시지와 아랫부분에 <페이지 색인 생성>, <모바일 사용 편의성>, <탐색 경로>가 보입니다. <탐색 경로>를 클릭하면 크롤링(검색 로봇)이 언제 완료되었고 감지된 항목은 어떤 게 있는지 내용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름 없는 항목>에 대한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참고로 색인이 생성된 페이지만 개선사항이 표시되며 페이지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개선 사항은 없습니다.
색인 생성이 안된 페이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서 다시 <URL 검사>를 클릭하면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으로 정상 페이지로 나옵니다.
색인 생성이 안된 URL
아래쪽 다른 URL 주소를 클릭하고 마우스를 주소 위에 올려놓고 돋보기 모양 <URL 검사>를 클릭합니다.
<Google 색인에서 데이터 가져오는 중>이라고 로딩되면서 URL 검사 화면이 보입니다.
새 창에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라고 나오고 아래에 세부 정보가 보입니다. 페이지 색인 생성에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 Google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URL입니다>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페이지여서 아래 내용에서 사이트는 <감지된 참조 사이트맵이 없습니다>, 참조 페이지는 <감지된 페이지 없음>, 크롤링과 색인 생성은 <해당사항 없음>으로 나옵니다.
해당 페이지에 들어가 살펴보고 문제가 없다면 오른쪽 위 <실제 URL 테스트> 버튼을 클릭해 주면 됩니다. 그러면 실제 URL 테스트를 하는데 1~2분 정도 소요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아래 항목에 있는 사이트 주소에 전부 들어가 하나씩 URL 테스트를 해줍니다. 문제가 없는 페이지라면 <실제 URL 테스트>를 하면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으로 정상 표시됩니다.
URL 검사와 색인 생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 해결
색인 생성과 관련된 문제점들은 굉장히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색인 생성이 안된 경우 <색인 생성> 아래쪽에 보시면 <색인 생성 허용 여부>, <사용자 선언 표준 URL>, <Google에서 선택한 표준 URL> 등 3가지 항목이 보이는데 이 부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니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색인 생성 허용 여부>는 <예>로 표시돼야 하는데 <아니요>로 보이는 경우 블로그에서 스킨이나 게시물, 페이지에서 로봇 메타 태그로 색인을 거부한 것일 수도 있다고 하니 스킨 편집에서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사용자 선언 표준 URL>에는 페이지 URL 주소가 보이고 <Google에서 선택한 표준 URL>에는 <검사된 URL>이라고 나오는데 사용자와 구글의 URL이 다르게 표시된다면 스킨, 게시물의 캐노니컬 태그를 확인해야 한다고 하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드디어 제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글 검색 노출수가 수집이 되었습니다!!
URL 검사 도구와 색인 생성과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 구글 서치 고객센터 자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URL 검사 도구와 색인 생성과 관련된 구글 서치 고객센터 자료
'티스토리블로그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서치콘솔 rss 제출 <가져올 수 없음> 완벽해결 (7) | 2023.02.25 |
---|---|
다음에서 무료로 내 사이트 검색등록하는 방법 (0) | 2023.02.25 |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및 검색로봇 설정 (0) | 2023.02.24 |
티스토리 블로그 카테고리 만들기 및 수정 (0) | 2023.02.23 |
프로토콜이 다른 내부 링크 존재 한번에 해결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