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데이터 라벨링 작업에서 조금 높은 단계인 이미지 분류 및 판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코디너리>에서 개발한 AI 기술인 인공지능 스타일리스트가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코디를 하는지 흥미로운 사실을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텍스트 분류 및 판별 "AI 심리상담"
매일 고민되는 옷과의 전쟁, 그리고 시간.
우리는 매일 아침 출근하기 전 옷장을 열고 오늘은 어떤 옷을 입고 나가야 할지 한참을 고민하게 됩니다. 특히 중요한 회의나 약속이 있는 경우 스타일에 더욱더 신경을 쓰게 되죠,, 옷장에 옷은 넘치는데 정작 위, 아래를 맞추어 입을 수 있는 적절한 스타일링이나 코디를 못해서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런 우리들의 현실적인 고민, 이제는 한 번에 싹, 해결해 줄 멋진 인공지능 스타일리스트가 나타났습니다!
누구냐고요? 바로 <코디너리>랍니다.
인공지능 AI 스타일리스트 <코디너리>의 탄생
코디너리 손원호 대표님은 어제도, 오늘도 매일매일 우리가 겪는 고통을 이해하시고 어떻게 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하고 연구를 하던 중 수많은 데이터를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켜 AI가 우리에게 맞는 코디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해 주었습니다. <코디너리>는 맞춤형 코디를 제안해 주고 스타일링에 대한 사람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는 데이터 기반의 패션 플랫폼입니다. 수많은 패션 이미지와 코디정보,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렇게 패션에 특화된 데이터를 활용한 훌륭한 스타일리스트를 만들었습니다. 이제는 아침에 눈뜨면 어떤 옷을 입을지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고 AI에게 내 옷장에 있는 옷들을 보여준 다음 오늘 나에게 맞는 여러 종류의 코디를 제안해 주면 그대로 입고 나가기만 하면 되니 얼마나 편리한가요?
패션 스타일 데이터 수집 과정
그럼 인공지능 AI는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우리에게 코디를 제안하는 걸까요?
과연 우리가 AI를 믿고 코디를 맡겨도 될까요?
수많은 의문들이 드는 건 당연한 거겠죠,,
인공지능은 이제 막 태어난 아기와 같아서 처음부터 하나씩 제대로 된 정보를 학습시켜야 합니다.
의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검출
스타일리스트가 되려면 무엇보다 양질의 다양한 의류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할 것입니다. 크게는 계절별, 옷 종류별, 재질별, 등 수많은 의류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코디 추천
의류들에 대한 정보가 수집이 되었으면 스타일리스트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코디를 위해서 서로 다른 의상을 조합한 코디 추천 데이터가 있어야 합니다.
아이템별 상품 추천
다음은 옷의 유행에 따라 상품을 추천해 줄 수 있는 정확도가 필요합니다. 옷, 모자, 가방, 신발에 대한 스타일을 맞추어 상품을 추천합니다.
AI 모델 개발을 위한 이미지 분류 및 판별하는 방법
AI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양질의 패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우선 수집한 패션 이미지에 대한 옷의 종류, 색상, 길이, 소재, 기타 넥라인, 긴팔인지, 짧은 팔인지, 패턴, 핏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있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상의, 하의, 신발, 가방, 모자, 등 아이템의 속성 정보에 대하여 정확한 태깅을 해주어야 합니다. 정확도가 높을수록 인공지능의 성능은 더욱 향상되므로 데이터 라벨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도 오늘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직접 해보았습니다. 제가 작업한 내용은 옷을 입은 사진을 보고 상의에 대한 정보만 분류하고 판별해서 태깅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첫 번째는 맨투맨을 입고 있는 이미지를 보고 정확하게 태깅하는 작업입니다.
옷의 종류는 맨투맨이고 팔의 길이는 긴소매입니다.
넥라인은 라운딩이며 패턴은 프린트입니다.
옷에 장식은 없고 색상은 노랑입니다.
두 번째 사진은 청색의 점포스투를 입고 있는 사진입니다.
옷의 종류는 점프슈트이고 팔의 길이는 반소매입니다.
넥라인은 칼라이고 옷의 패턴은 청입니다. 칼라는 카라를 의미합니다.
옷의 장식은 앞에 단추와 주머니가 있어서 선택하면 됩니다.
옷 색상은 보이는 색 그대로 여러 가지 태깅하면 되는데 저는 파랑, 남색, 회색을 선택하였습니다. 한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진 게 아니므로 여러 가지 색상을 그대로 태깅합니다.
세 번째 이미지는 터틀넥 스웨터를 입고 있는 사진입니다.
옷의 종류는 스웨터이고 팔의 길이는 긴소매입니다.
넥라인은 터틀넥이며 옷의 패턴은 골지무늬입니다. 골지무늬는 세로로 나있는 무늬를 말합니다. 옷에 장식은 없고 색상은 갈색입니다.
오늘 이렇게 인공지능 <코디너리>의 AI 스타일리스트 학습 데이터를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 라벨링을 처음 학습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재테크 및 부업 > 데이터라벨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바운딩 "AI 치매 및 뇌졸증 진단" (0) | 2023.03.31 |
---|---|
텍스트 분류 및 판별 "AI 심리상담" (0) | 2023.03.31 |
데이터 라벨링 이미지 내 텍스트 수집 (0) | 2023.03.24 |
데이터 라벨링 영상 분석 및 판별하는 방법 (0) | 2023.03.23 |
데이터 라벨링 음성 분류 및 판별하는 방법 (0) | 2023.03.23 |
댓글